Mission Statement
“역사의 힌두화”라는 테제는 그것을 ‘대전환’이라는 용어로 서술하는데 부족하지 않을 만큼 인도의 역사 인식과 서술에 있어서 거대한 영향력을 발휘해 온 문제이다. 힌두화의 문제가 소위 ‘힌두 근본주의 정당’인 BJP 집권의 공고화라는 현재 인도의 정치적 상황과 맞물려 새로운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관(官) 주도의 ‘역사 다시쓰기’, 또는 ‘역사의 힌두화’는 과거 힌두 민족주의 역사관의 맥을 잇고 있으면서도 세계화와 발전을 지향하는 새로운 시대적 맥락 하에서 21세기 대전환의 중심적인 한 축을 이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면적, 중층적 성격과 의미를 갖는 힌두화의 본질을 그 역사적 사례로부터 탐구한다. 1단계에서는 현재 진행형인 ‘힌두화’ 현상의 기저로서 식민지 시대에 이루어진 인도 역사와 종교 민족주의의 구축을 살펴본다. 2단계에서는 힌두화의 중요한 양상으로서의 힌두 이데올로기와 힌두 역사의 형성과 그 본질을 탐구한다. 또한 탈식민주의 이론과 인도의 소수집단 담론을 통하여 힌두화의 한계를 직시하고, 힌두화에 대한 저항의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인다.
Featured Publications
- 이춘호. 정치 분야에서 여성의 역할 변화 연구:델리와 아와드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26(2), 2022.
- 신민하. 국장(國章) 제정과정에서 나타나는 인도의 국가정체성 형성에 대한 연구: 초대 총리 자와할랄 네루의 국가비전을 중심으로. 아시아연구 24(1), 2021.
** 추후 실적물 첨가 가능
** 홈페이지 출판 링크 연결 가능
Team /
Fellows
이춘호
신민아
Aditi Singh
Co-Researchers
구하원
Harsh V. pant
Related Projects
Related Events
-
- Related Projects
-
- 사상의 일원화
- 힌디어의 전인도화
- 문화다양성의 획일화
- 강한 인도 / 성장의 인도
-
- Related Events
-
- 인도연구소 HK+ 사업단 제48회 콜로퀴엄
- 2022 인도연구소 HK+사업단 하계학술대회
Head : 김찬완 교수
인도연구소 소장
인문한국플러스(HK+) 사업단장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교수
- 인도의 대전환과 인도학의 한국적 재해석 인도 지역연구의 세계적 거점 구축
-
Great Transition in India: A Korean Perspective on Indian Studies
- Establishment of Global Institute of Indian Studies
Mission Statement
연구목표
인도는 인더스 문명, 힌두교와 불교의 발상지, 세계 최대 다언어 사회 등으로 대표되는 풍부한 고유 인문자산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인도의 인문 공간이 1990년대 초 단행된 개혁개방 이후 자유화와 세계화의 물결 속에서 신세대(Post-reform Generation)가 출현하면서 많은 변화를 경험해오고 있다. 특히 최근 ‘힌두의 인도’ 건설이 이루어지면서 인도의 인문자산이 도구화되고, 민간주도의 전통적 인문 공간이 관주도로 변화하는 인문의 대전환을 맞이하고 있다. 인도의 대전환은 인문 공간뿐 아니라 정치·경제·외교·안보의 모든 영역에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소 HK플러스 사업 연구팀에서는 1단계 연구에서 세부 아젠다별로 기저를 탐구하고 학제적으로 연구하여 대전환의 기저를 인문학적, 지역학적, 정치사회학적으로 분석한다. 1단계 연구를 토대로 2단계에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대전환의 실체를 규명함과 더불어 대전환에 대한 도전 그리고 그러한 현상 등에 대해 한국적 재해석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내용
현재 일어나고 있는 대전환의 실체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그 현상의 기저를 먼저 탐구해야 한다. 대전환의 양상은 종교, 철학, 언어, 문학, 역사, 사회, 문화, 법, 정치, 경제, 외교 등 모든 영역에서 나타나고 있다. 그러한 대전환의 기저, 실체 그리고 그에 대한 다양한 도전 양상들을 규명하는 것이 본 아젠다 연구의 핵심이다. 본 연구는 5개의 세부 아젠다로 나누어 진행한다.
1 사상의 일원화
2 힌디어의 전인도화
3 역사의 힌두화
4 문화다양성의 획일화
5 강한 인도, 성장의 인도
단계별 연구계획
아젠다 | 인도의 대전환과 인도학의 한국적 재해석 Great Transition India : A Korean Perspective on indian Studies | ||||||
---|---|---|---|---|---|---|---|
세부 아젠다 | 사상의 일원화 | 힌디어의 전인도화 | 역사의 힌두화 | 문화 다양성의 획일화 | 강한 인도 , 성장의 인도 | ||
참여인력 | 5 | 5 | 5 | 5 | 6 | ||
1 단계 | 인도 대전환의 기저 | 1 년차 | 힌두이즘 / 불교의 원류 |
힌디어와 힌디문학 원류 |
인도역사의 근대적 구축 |
차이의 문화 / 차별의 문화 |
배려의 힘 / 힌두 성장 |
2 년차 | 힌두이즘 / 불교의 확산 |
힌디어와 힌디문학 정제 |
힌두 정체성의 재정립 |
관용과 포용의 힌두 문화 |
분권의 힘 / 부분 성장 |
||
3 년차 | 힌두이즘과 서구의 만남 / 불교의 힌두화 |
다언어정책 시기의 힌디어와 힌디문학 |
힌두 / 이슬람 민족주의의 형성 |
사회 통합으로서의 카스트 |
경쟁의힘 / 인간의 얼굴을 한 성장 |
||
2 단계 | 인도 대전환의 실체와 도전 | 1 년차 | 힌두이즘 / 불교의 현대화 |
언어 공간의 재편성 | 힌두 이데올로기의 성장 | 이슬람 문화의 힌두화 | 힌두의 힘 / 포용 성장 |
2 년차 | 힌두이즘 / 불교의 서구화 |
문학공간의 재편성 | 힌두 역사 만들기 | 소수집단 문화의 힌두화 |
개혁 이후 세대의 힘 / 메이크 인 인디아 |
||
3 년차 | 힌두이즘의 힌두화 / 불교의 다변화 |
힌디어 헤게모니 담론 |
탈식민 현상으로서의 힌두화 |
자본과 권력의 카스트화 |
모디의 인도 / 디지털 인디아 |
||
4 년차 | 일원화와 획일화의 충돌 |
힌디어를 통한 통합과 도전 |
소수집단의 힌두화 | 문화 획일화의 저항 | 모두의 인도 / 보통사람 성장 |
||
5 년차 | 인도 사상의 대전환 | 힌디어와 힌디문학의 대전환 | 인도 역사의 대전환 | 인도 문화의 대전환 | 인도 정치 , 경제의 대전환 |
주요 사업
연구소 비전 : 세계적 수준의 인도 지역 연구소 | |
---|---|
5 대 전략 사업 | 세부 사업 |
지역 연구 선도 활동 | 지역연구 총서 발간 |
남아시아연구 연 4 회 발간 | |
영문학술지 발간 및 SCOPUS 급 격상 | |
국내외 학술대회 개최 | |
지역 연구의 인프라 구축 | 종합정보자료실 구축 |
인도 29 개 주 (State) 온라인 DB | |
국내외 인도 -남아시아 전문가 DB | |
국내 · 국제 연구 교류 활동 | 국내 인도 연구기관과 연구교류 강화 |
해외 인도 연구기관과 연구교류 강화 | |
국내외 기업 , 언론사 , 정부기관과 교류 | |
인도 소사이어티 구축 | |
연구 성과의 사회적 서비스 | 인도 인문 Focus 발간 |
인도 -남아시아 이슈페이퍼 발간 | |
인문학 시민 강좌 (간디 아슈람 ) | |
지역 전문가 양성 계획 | Summer School 연 1 회 실시 |
한국 -도 2030 세대 포럼 | |
논문 공모전 개최 | |
대학원 연계 지역전문가 초청특강 | |
기업 및 유관기관 실무전문가 양성 |
주요 연구성과
- 김찬완, 최지연. 인도 대전환의 실체와 도전: 힌두 헤게모니 담론. 도서출판 다해, 2022.
- Kim Chanwahn and Kim Hansang. Great Transition Indian Humanities. World Scientific, 2021.
- 최지연, 상연진. 신불교운동의 현황과 종교적 한계. 불교연구 57, 2022.
- 양영순. 인도 전통의학(AYUSH)의 세계화와 힌두화. 아시아문화연구 60, 2022.
- Singh Aditi. The Aryan Question and Debate: A Historiographical Survey. 남아시아연구 28(1), 2022.
- 신진영. 카스트에 대한 관심 변화와 이슈 트렌드 분석. 아시아연구 25, 2022.
-Banik Nilanjan, Kim Misu. India–Republic of Korea CEPA: Assessment and Future Path. Economies, 2022.
- 이춘호. 정치 분야에서 여성의 역할 변화 연구:델리와 아와드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26(2), 2022.
-김용정. 근대 힌디어 도덕극의 형성과 시대의식 -「진리의 하리슈짠드라」의 서사와 극의 형식과 관련하여, 인문학연구 47, 2021.
- 신민하. 국장(國章) 제정과정에서 나타나는 인도의 국가정체성 형성에 대한 연구: 초대 총리 자와할랄 네루의 국가비전을 중심으로. 아시아연구 24(1), 2021.
- 심준보. 인도 현대요가의 힌두화 연구 –스와미 람데브를 중심으로. 인도철학 66, 2022.
- 이지현. 인도 언어의 재편성-따밀나두의 반힌디어 운동을 중심으로. 인문연구 93(3), 2020.
- Ji Yeon-jung. Unfriendly Guardians: India’s First Nuclear Leadership Change in 1966. The British Journal for the History of Science, 2021.
Featured Publications
Team /
Fellows
Co-Researchers
- 고태진
- 구하원
- 김호성
- 이순철
- 이은구
- 임근동
- 최종찬
- Mohammad Masudur Rahman
- Sanjay Srivastava
- Harsh V. Pant
- Nilanjan Banik
- Balaganapathi Devarakonda
Related Projects
Related Ev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