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별 교과과정
교육정책전공
교과목명 | 영문명 |
---|---|
교육정책론 | Educational Policy |
교육계획론 | Educational Planning |
교육조직론 | Organizational Theory in Education |
고등교육행정 | Administration in Higher Education |
국제고등교육의 이해 |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
교육재정론 | Educational Finance |
교육지도성 | Educational Leadership |
혁신교육론 | Educational Changes and Reform |
교육행정철학 | Administrative Philosophy in Education |
교육정치학 | Politics of Education |
교육경제학 | Economics of Education |
교육정책 분석 및 평가 | Educational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
교육행정학 특강 | Seminar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
교육실천 사례 연구 | Case Studies for Educational Practices |
교육공동체 이론과 실제 | Theory and Practice in Educational Community |
지역사회 기반 교육공동체 연구 | Research in Community-based Education |
국제교육정책 세미나 | Seminar in International Educational Policies |
교육사회학 연습 | Seminar in Sociology of Education |
성인교육의 기초 | Foundations of Adult Education |
인적자원개발론 | Human Resource Development |
교육 프로그램 평가론 | Educational Program Evaluation |
성인교육기관 경영 | Management of Adult Education Institution |
평생교육 정책 및 행정 | Policy and Administration in Lifelong Education |
성인교수학습의 이해 | Understandings of Teaching-Learning in Adult Education |
지역공동체와 평생교육 | Local Community and Lifelong Education |
교육과정 연구 방법 탐구 | Methodology for Curriculum Studies |
교육과정기준 연구 개발론 |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urriculum Standards |
교육과정의 국제 비교 연구 | Comparative Studies on School Curriculum |
교육과정이론 | Theory of Curriculum Studies |
대학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 |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University Curriculum |
교육과정 정책론 | Seminar on Curriculum Policies |
교재연구 개발론 |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urricular Materials |
교육과정 운영 관리론 | Implementation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
교육과정기반 평가 | Curriculum-Based Evaluation |
교육공학 연습 | Practices of Educational Technology |
교육공학연구비평 | Critique of Literature in Instructional Technology |
교육공학최신동향 | Emerging Approaches in Teaching, Learning, and Technology |
교수공학 | Instructional Technology |
교수전략 | Instructional Strategy |
ICT와 교육 | Information Technology in Education |
학습과 동기의 인지과학적 기초 | Cognitive Science Foundations of Learning and motivation |
교수학습연구 | Research in Learning and Instruction |
심리사회적 학습환경 분석 | Analysis of Psychosocial Learning Environment |
지능 및 창의성이론 | Theories of Intelligence and Creativity |
교육연구방법론 | Educational Research Methodology |
분산분석과 회귀분석 | Analysis of Variance &Regression |
메타분석 | Meta Analysis |
구조방정식 모형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교육통계이론 | Educational Statistics Theories |
교육학 연구를 위한 연결망분석 | Network Analysis for Education Research |
최신 교육통계이론 세미나 | Seminar in Contemporary Educational Statistics Theories |
고등교육 세미나: 대학생 및 대학원생 | Seminar in Higher Education: College student and Graduate student |
상담심리전공
구분 | 교과목명 | 영문명 |
---|---|---|
석 | 상담기법 | Counseling Techniques |
석 | 아동 및 청소년상담 | Counseling Children and Adolescents |
석 | 진로상담 | Career Counseling |
석 | 교육과 상담에서의 국제이해연구 | Global Studies in Education and Counseling |
석 | 상담연구 세미나 | Seminar in Counseling Research |
석 | 상담실습 | Practicum |
석 | 집단상담의 이론 및 실제 | Group Counseling: Theory and Application |
석 | 정신병리 및 진단 | Psychopathology and Diagnosis in Counseling |
석 | 심리진단 및 검사 | Individual Appraisals |
석박 | 상담최신 경향 | Trends in Counseling |
석 | 상담연구방법론 | Research Methods in Counseling |
석박 | 상담윤리 | Ethical Issues in Counseling |
석 | 상담이론 | Theories in Counseling Psychology |
박 | 고급 집단상담 및 아웃리치 | Advanced Group Counseling and Outreach |
박 | 고급 상담이론 | Advanced Theories in Counseling Psychology |
박 | 상담연구 세미나 (심화) | Advanced Seminar in Counseling Research |
박 | 고급 상담실습 | Advanced Practicum |
석 | 다문화 상담 | Multicultural Counseling |
박 | 고급 다문화 상담 | Advanced Multicultural Counseling |
박 | 고급심리진단 및 검사 | Advanced Individual Appraisals |
박 | 상담감독 | Counseling Supervision |
박 | 고급상담연구방법론 | Advanced Research Methods in Counseling |
박 | 진로상담 세미나 | Seminar on Counseling Research |
종합시험 과목
구분 | 전공 | 과목 | 비고 |
---|---|---|---|
공통 | 교육정책, 상담심리 | 방법론분야 | 석, 박사 공통 필수 |
석사 | 교육정책 | 교육과정분야 | 택 2 |
교육행정분야 | |||
교육공학분야 | |||
고등교육분야 | |||
상담심리 | 상담이론과 실제 | 필수 | |
정신병리 및 진단 | |||
박사 | 교육정책 | 교육과정분야 | 택3 |
교육행정분야 | |||
교육공학분야 | |||
고등교육분야 | |||
상담심리 | 진로상담 | 필수 | |
상담이론과 실제 | |||
정신병리 및 진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