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FLT 교육과정 정리
[1] KFLT 교육과정 분류 도표
구분 | 교과목명 |
---|---|
기초 통번역 능력 함양 | 번역을 위한 한국어학의 이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이해, 기초통번역이론, 한국어문체번역연습, 한국어발음연습 I, 번역을 위한 대조언어학 세미나(글로벌), 번역을 위한 한중대조언어연구(중국어), 한국어번역을 위한 문장분석, 한국어번역연구의 심화 I |
AI 및 기술 응용 중심 | 한국어통번역과 AI이해, 한국어통번역과 AI번역, 한국어통번역과 AI활용 |
PE 및 품질 평가 중심 | 한국어 비문학 PE 연습, 고급한국어 PE 연습, 한국어번역 오류 분석, 번역 평가 지표 및 AI-인간 협력 연구 (신설 제안 과목) |
[2] 교육과정 영역별 설명
1. 기초 통번역 능력 함양 교육과정
본 교육과정은 이중언어 사용자들이 번역 수행의 기본을 탄탄히 다질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번역을 위한 한국어학의 이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이해’는 문법, 담화, 언어구조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합니다. ‘기초통번역이론’은 번역학의 이론과 실제를 연계하고, ‘한국어문체번역연습’, ‘문장분석’은 다양한 장르의 문체 적응 훈련을 제공합니다. ‘한국어발음연습 I’은 구술 기반 통역 능력을 위한 기초 역량을 키우며, 대조언어학 과목을 통해 언어 간 차이를 이해하고 실수를 줄이는 능력을 강화합니다.
2. AI 및 기술 응용 중심 교육과정
‘AI이해’는 LLM 기반 번역 기술의 원리를, ‘AI번역’은 실습 중심의 도구 활용법을 학습합니다. ‘AI활용’ 과목은 인간과 AI의 협업 프로젝트 수행 능력을 키웁니다.
3. PE 및 품질 평가 중심 교육과정
‘비문학 PE 연습’은 기사, 보고서 등 장르별 오류 유형 분석을, ‘고급 PE 연습’은 문체 감수성, 레지스터 조정을 훈련합니다. ‘오류 분석’은 Bowker 및 ATA 모델을 기반으로 품질 평가 능력을 강화하며, ‘AI 협력 연구’는 AEMOS, COMET, METEOR 등 자동 평가 지표를 학습합니다.
[3] 정리하기
KFLT의 교육과정은 단순한 번역 기술을 넘어서 언어 분석, AI 기술 이해, 문화 전환까지 아우르는 통합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기초 역량을 중시하며, 이론과 실습이 연계된 체계적 설계를 통해 학생들이 창의적 언어 중개자, AI 협업 전문가, 다문화 소통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는 KFLT의 교육 철학이자,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전략적 방향이기도 합니다.
📚 KFLT 교육과정 정리
[1] KFLT 교육과정 분류 도표
구분 | 교과목명 |
---|---|
기초 통번역 능력 함양 | 번역을 위한 한국어학의 이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이해, 기초통번역이론, 한국어문체번역연습, 한국어발음연습 I, 번역을 위한 대조언어학 세미나(글로벌), 번역을 위한 한중대조언어연구(중국어), 한국어번역을 위한 문장분석, 한국어번역연구의 심화 I |
AI 및 기술 응용 중심 | 한국어통번역과 AI이해, 한국어통번역과 AI번역, 한국어통번역과 AI활용 |
PE 및 품질 평가 중심 | 한국어 비문학 PE 연습, 고급한국어 PE 연습, 한국어번역 오류 분석, 번역 평가 지표 및 AI-인간 협력 연구 |
[2] 교육과정 영역별 과목 설명
🔹 기초 통번역 능력 함양 과목
- 번역을 위한 한국어학의 이해: 언어학 기반의 한국어 구조 학습을 통해 번역 직관 향상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이해: 외국인 시점의 문법 및 의미 구조 중심 학습
- 기초통번역이론: 주요 번역 이론과 사례 분석을 통한 이론-실천 연계
- 한국어문체번역연습: 장르별 문체 분석 및 문체 적응 번역 전략 훈련
- 한국어발음연습 I: 통역 기반 발화 훈련과 발음 교정 실습
- 번역을 위한 대조언어학 세미나: 언어 간 구조 분석과 오류 방지 전략 학습
- 한중대조언어연구: 중국어 사용자 대상 한중 구조 및 의미 비교 분석
- 문장분석: 문장 구성, 응집성, 의미 흐름 분석 역량 향상
- 한국어번역연구의 심화 I: 연구 중심 고급 번역, 번역 비평 및 논문 작성
🔹 AI 및 기술 응용 중심 과목
- AI 이해: GPT, Transformer 등 이론 기반 학습
- AI 번역 실습: 실제 기계 번역 도구를 활용한 품질 분석
- AI 활용 프로젝트: 인간-AI 협업 구조 설계 및 실무 중심 프로젝트 수행
🔹 PE 및 번역 품질 평가 중심 과목
- 비문학 PE 연습: 공문서 및 기사 기반 PE 전략 실습
- 고급 PE 연습: 톤 유지, 고급 문체 조정 중심 실습
- 오류 분석: Bowker, ATA 기준에 따른 오류 유형 분류
- AI-인간 협력 연구: AEMOS, METEOR, COMET 등 자동 평가 지표와 인간 비평 융합
[3] 정리하기
KFLT의 교육과정은 언어학 이론, 번역 실무, AI 기술, 품질 평가를 유기적으로 통합하며, 이론과 실천을 넘나드는 AI 시대형 번역 전문가를 양성합니다. 학생들은 ‘언어 분석가’로서의 기초를 다지고, ‘기술 융합가’로서의 실무 능력을 배양하며, ‘문화 중개자’로서의 인문학적 감수성과 창의성을 동시에 기르게 됩니다.